본문 바로가기
정보

강수량 강우량 뜻, 차이점 및 측정 방법

by life-money-happy 2025. 6. 21.
728x90

 

강수량은 비, 눈, 우박 등 하늘에서 내리는 물의 양을 측정한 것입니다. 강수량은 주로 밀리미터(mm) 단위로 나타내며, 일정 시간 동안 일정 면적에 내린 물의 깊이를 의미합니다. 예를 들어, "강수량 10mm"는 해당 지역에 1㎡당 10리터의 비가 내렸다는 뜻입니다. 

 

1. 우량계(강우계, Rain Gauge) – 가장 일반적인 방법

 

▶ 원리: 빗물을 직접 받아서 그 양을 측정함.

▶ 종류:

 눈금 우량계(표준 우량계): 간단한 원통형 용기. 일정 시간 후 안에 고인 물의 양을 자로 재어 측정.

 자동 우량계: 빗물이 고이면 일정량마다 자동으로 비워지며, 그 횟수를 기록해 강수량 계산.

   체중식 우량계: 빗물의 무게를 측정해 강수량을 계산.

   적하계형 우량계(Tipping Bucket): 빗물이 일정량 차면 양동이처럼 '턱'하고 기울어지며 기록.

 

2. 레이더에 의한 측정

 

▶ 강수 레이더(Rain Radar)를 사용해 대기 중 물방울의 반사 신호를 측정해 강수의 양과 분포를 추정.

▶ 넓은 지역의 강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.

▶ 단점: 지표면 강수량과 차이가 있을 수 있어 보정 필요.

 

 

3. 위성에 의한 측정

 

▶ 인공위성의 센서를 이용해 구름의 특성과 강수 여부, 강도 등을 추정.

▶ 넓은 해양이나 산악지대처럼 지상 관측이 어려운 곳에서 유용.

▶ 정밀도는 상대적으로 낮고 보정이 필요함.

 

4. 레이저/광학 센서 기반 장비

 

▶ 빗방울이 센서를 통과할 때 생기는 변화(속도, 크기 등)를 측정해 강수량 계산.

▶ 최신 자동 기상관측시스템(AWS)에 종종 포함됨.

 

 

 

5. 강수량, 강우량 차이

 

▶ 강수량

뜻: 하늘에서 내리는 모든 형태의 물의 총량

포함하는 것: 비, 눈, 우박, 진눈깨비, 안개비, 이슬, 서리 등도 일부 포함될 수 있음

단위: mm (1제곱미터에 내린 물의 깊이로 계산)

 

👉 즉, 강수량은 '비뿐 아니라 모든 종류의 물의 낙하량'을 포함한 개념입니다.

 

▶ 강우량

뜻: 하늘에서 내린 비의 양만을 의미

포함하는 것: 오직 비 만 포함 단위: mm

 

👉 따라서, 강우량은 강수량의 하위 개념이라고 보면 됩니다.

 

▶ 예시

어떤 날 비와 눈이 같이 내렸다면: 강수량: 비 + 눈 (모두 포함) 강우량: 비만 포함

 

 

 

6. 강수량 1mm 2mm 3mm 4mm 5mm 체감 정도

 

https://life-money-happy.tistory.com/458

 

비 강수량 1mm 2mm 3mm 4mm 5mm 체감, 느낌, 우산 필요 정도

강수량에 따른 체감정도와 외부환경, 우산의 필요에 대한 정보입니다. 비가 올 때 참고하시면 유용합니다. ♥ 1mm 체감눈에 보일까 말까한 가는 빗방울 얼굴이나 옷에 닿지만 젖는 느낌은 거의

life-money-happy.tistory.com

 

7. 강수량 11mm 12mm 13mm 14mm 15mm 체감 정도

 

https://life-money-happy.tistory.com/460

 

비 강수량 11mm 12mm 13mm 14mm 15mm 체감, 느낌, 우산 필요 정도

강수량에 따른 체감정도와 외부환경, 우산의 필요에 대한 정보입니다. 비가 올 때 참고하시면 유용합니다. ♥ 11mm 체감우산 써도 양옆, 다리, 팔 다 젖음 우산 아래도 눅눅하고 축축한 느낌 활동

life-money-happy.tistory.com

 

 

 

 

728x90